요즘 금리가 올라서 대출받기가 어려운데요. 신혼부부들에게 내집마련은 모두가 꿈입니다. 이번에 특례 대출로 가진돈이 많지 않아도 내집마련을 할 수 있는 지원 혜택이 나와 소개합니다.
2024년 신생아 특례 대출 대상
대출신청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가구(신규 대출)
부부합산 연소득 1.3억원 이하 및 순자산 4.69억 원 이하
* 2024년은 23년 1월1일 이후 출생아를 둔 출산(입양) 가구에 대출지원
* 혼인신고 없이 출산한 부부도 대출 가능
* 임신 중인 태아 미포함
* 구입자금은 1주택 보유가구에 대해도 대환대출 지원
2024년 신생아 특례 대출
- 대상 주택 : 주택가액 9억 원 이하,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
- 대출 한도 :
- 최대 5억원
- 만기 10년, 15년, 20년, 30년(1년 거치 또는 무거치) 선택
- 상환방법은 원리금 균등, 원금 균등, 체증식 분할 상환 가능
- 대출 금리 : 특례금리 적용 → 특례금리 적용 종료 후 금리 변경
- 특례 금리 : 소득, 만기에 따라 1.6~3.3%, 5년간 지원(1자녀 기준)
- 특례 금리 종료 후 :
- 연소득 8.5천만 원 이하는 기존 특례금리에서 0.55%p 가산
- 연소득 8.5천만원 초과는 대출시점의 시중은행 원별금리 중 최저치 적용
- 출산 혜택 : 아이 1명당, 금리 0.2%p 인하 및 특례기간 5년 연장(단, 금리 하한선 1.3%, 특례기간 상한은 총 15년)
- 대환 : 주택 구입자금 마련 용도의 기존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대환
2024년 신생아 특례 전세자금 대출 지원대상
지원 대상은 대출신청일 기준 2년 내 출산한 무주택 세대주입니다. 또 부부합산 연소득 1.3억 원 이하 및 순자산 3.45억 원 이하만 가능합니다.
- 2023.1.1일 출생아부터 적용
- 입양아 포함(2살 이하, 단 23.1.1일 출생아부터 적용)
- 혼인신고 없이 출산한 부부도 대출 가능
- 임신 중인 태아 미포함
2024년 신생아 특례 전세자금 대출
- 대상 주택 :
- 보증금 5억원 이하(수도권 외 지방은 4억 원 이하)
-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
- 대출 한도 :
- 3억 원 이내(보증금 80% 이내)
- 전세계약기간 종료 시 상환(대출만기 5회 연장 가능)
- 대출 금리 : 특례금리 적용 → 특례금리 적용 종료 후 금리 변경
- 특례 금리 : 소득, 만기에 따라 1.1~3.0%, 4년간 지원(1자녀 기준)
- 특례 금리 종료 후 :
- 연소득 7.5천만 원 이하는 기존 특례금리에서 0.4%p 가산
- 연소득 7.5천만원 초과는 대출시점의 시중은행 원별금리 중 최저치 적용
- 추가출산 혜택 : 아이 1명당 금리 0.2%p 인하 및 특례기간 4년 연장(단, 금리 하한선은 1.0%, 특례기간 상한은 총 12년)
- 대환조건 : 전세계약 개시일(또는 계약갱신일)로부터 3개월 이내 기존 전세대출에 대한 대환
신청 방법
대출 취급은행: 우리은행, 국민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, 농협 5개
온라인 신청 : 기금e든든 누리집을 통해 신청 가능
마무리
신생아가 있는 신혼부부의 경의 최저 1.6% 금리로 최대 5억 원까지 주택 구입자금 대출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. 거의 최저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니 한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자격 - 가입 안하면 손해
많은 사람들의 꿈인 주택 마련은 몇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그중에서도 청약통장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이익이 큰데요. 이번에 청년들을 위해 “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”이 나와 추천하려고
life.youcan-doit.co.kr
2024년 육아휴직제도: 휴직기간 연장 12개월 → 18개월
2024년 육아휴직제도: 휴직기간 연장 12개월 → 18개월
맞벌이 부부인 경우 아기가 태어나면 직장 생활이 균형이 깨지기 쉽습니다. 아기를 케어 하는데 부모의 역할이 크기 때문이죠. 생활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 국가에서 육아휴직제도가 도입
life.youcan-doit.co.kr
'혜택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최저임금 총정리: 시급 10,030원 시대, 실수령액 얼마나 될까? (1) | 2024.12.21 |
---|---|
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 받고 연말정산 10만원 세액공제 (0) | 2024.12.18 |
구직촉진수당 온라인 신청방법, 나도 받을 수 있을까? (4) | 2024.10.13 |
한전 전기요금 조회 및 지원 제도, 놓치면 후회하는 정보 대공개 (1) | 2024.10.08 |
재산세 카드혜택 받는 방법, 최소 커피 3잔 값은 벌자 (4) | 2024.09.14 |